요즘은 상품권을 모바일로 받는 시대이다.
인터넷이나 IPTV를 설치받고 나면 사은품을 상품권으로 받기도 하는데,
그럴 때 보통 상품권을 모바일로 보내주는 경우가 있다.
오늘은 그 모바일 상품권을 지류로 교환하는 과정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려 한다.
최근 나의 동네친구들 중 한분을 따라 백화점에 있는 키오스크에 상품권을 교환하러 갔다.
친구라 칭했지만 나이는 엄니와 비슷한 연배라 키오스크 앞에서 버벅거림이 있었다.
원래는 찍사로 가서 교환하는 장면만 찍어 올릴 예정이었으나,
약간의 가이드가 필요해 보이는 상황이라 손을 거들었다.
1. 키오스크 화면에 나와있는 대로 화면을 손가락으로 찍어준다.
2. 키오스크의 화면에
'우측 하단 바코드스캐너에 바코드를 스캔해 주세요'라고 뜨면
문자로 받은 모바일 상품권의 바코드 이미지를 손가락으로 누른다.
핸드폰 전체 화면에 상품권 바코드 이미지가 뜨게 끔 만든다.
3. 오른쪽 아래 '바코드 리더기'라고 적힌 곳에 핸드폰 바코드이미지를
거울에 비추듯 비춰준다.
4. 바코드가 찍히면 키오스크 화면에 상품권 교환금액이 뜬다.
교환 금액을 확인하고 확인버튼을 누른다.
우리가 교환할 금액은 34만원이었다.
(이해를 돕기 위해 금액을 기재하며 설명하도록 하겠다)
5. 상품권의 금액에 따라 1만원권, 10만원권으로 나누어져 교환할 상품권의 매수가 자동 계산되어 화면에 뜬다.
- 화면에 적힌 금액의 매수대로 교환을 원한다면 그대로 확인버튼을 누르고,
- 다른 금액권으로 매수를 변경하고 싶다면 '권종변경'을 누른다.
(10만원권 3매 = 30만원, 1만원권 4매 = 4만원으로 자동 계산되어 나왔으나,
친구는 1만원권으로 모두 교환하기를 원했기에 권종변경을 눌렀다.)
6. (5번 과정에서 자동계산된 매수 그대로 확인버튼을 눌렀다면 7번으로 이동)
금액에 따른 매수를 본인이 원하는 대로 조정하여 총금액을 맞추고 확인버튼.
친구는 34만원 모두 1만원권을 원했으므로,
1만원권의 '+5'버튼을 6번, '+1'버튼을 4번 눌러 34로 숫자를 맞추고 확인버튼을 눌렀다.
'-1' 버튼: 1매씩 감소 / '+1' 버튼: 1매씩 추가 / '+5 '버튼: 5매씩 추가
7. '상품권을 발권 중입니다'라는 화면이 뜨고 아래쪽으로 상품권이 한장씩 나온다.
상품권 금액을 확인하면 교환 끝!
상품권 교환이 끝이 났다.
룰루랄라 쇼핑을 이제 시작해보자!
'시시콜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기로운 잉크충전 (만년필 카트리지 재사용법) - 포스팅 AS (0) | 2023.03.13 |
---|---|
샴푸비누(샴푸바) 사용기 - 쏠드뷔게르 비누 (0) | 2023.03.02 |
KTX 모바일 예매 (할인적용, 예매한 승차권 결제 심화과정) (0) | 2023.02.28 |
등산화(운동화)끈 안풀리게 묶는 법 (끈으로 된 등산화 추천 이유) (0) | 2023.02.25 |
KTX 모바일로 예매하기(코레일 편) (0) | 2023.02.20 |